직장을 다니고 있는 모든 직장인은 의무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게 됩니다. 고용보험은 4대 보험중에 하나로 고용안정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자영업자도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? 자영업자의 실업급여에 대한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.
▶자영업자 실업급여 안내
1. 자영업자 고용보험 제도란?
• 자영업자의 생활안정 및 재취업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• 0~49인의 근로자가 있는 자영업자는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에 가입이 가능합니다.
• 가입 후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, 실업급여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. 가입방식
• 본인의 희망에 따라 가입하는 방식으로, 고용안정, 직업능력개발사업 및 실업급여에 모두 가입해야 합니다.
• 다만, 법 시행일(2012.1.22) 전에 이미 가입한 자영업자는 고용안정.직업능력개발사업에 한해 가입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(실업급여 미가입 가능)
• 가입을 희망하는 자영업자는 사업자등록을 하고 실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야 합니다.
• 자영업자의 경우 구직급여, 직업능력개발수당, 광역구직활동비, 이주비는 적용되나, 연장급여, 조기재취업수당 등은 적용되지 않음
3. 가입대상
• 근로자를 사용하지 않거나 5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주
4. 보험료 산정·납부
• 소득이 불규칙한 자영업자의 특성을 고려하여, 보험료 및 실업급여의 기준이 되는 소득은 고용노동부 장관이 고시하는 "기준보수" 중에서 선택이 가능합니다.
• 기준보수는 2016년 이후는 총 7등급, 2015년 이전은 총 5등급으로 구분됩니다.
• 보험료 : 선택한 기준보수 * 보험료율
※ 보험료율 : 중장기적인 보험수지 균형을 고려하여 설정 (실업급여 2%, 고용안정.직업능력개발사업 0.25% 예정)
• 실업급여 : 선택한 기준보수 × 60% (이직일 2019.10.1 이전은 선택한 기준보수 × 50%)
5. 가입신청절차
• 2012.1.22부터 근로복지공단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.
• 가입을 희망하는 자영업자는 「자영업자 고용보험가입 신청서」에 사업자 등록증, 주민등록등본 등을 첨부하여 근로복지공단(지사)에 제출하면 됩니다.
6. 수급요건
• 자영업자 고용보험에 1년 이상 가입 후 부득이한 사정으로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워 비자발적 폐업과, 적극적인 재취업 노력을 한 경우에 가입기간에 따라 120~210일까지 구직급여 지급 (이직일 2019.10.1 이전은 90~180일)
* 부득이한 사정: 매출액 감소, 적자지속, 자연재해, 건강악화 등(법 시행규칙 제115조의2 내지 3조)
* 구직급여, 직업능력개발수당, 광역구직활동비, 이주비는 적용되나, 연장급여, 조기재취업수당 등은 적용되지 않음
• 구직급여일액은 기준보수의 60% (2019.10.1 이전은 기준보수의 50%)
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긴급재난지원금 지역사랑상품권 신청방법 사용처 정보 총정리!(전국 모두) (0) | 2020.05.15 |
---|---|
비씨카드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혜택 총정리 (0) | 2020.05.13 |
하나카드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혜택 총정리! (0) | 2020.05.13 |
조기재취업수당 상세하게 총정리(실업급여) (0) | 2020.05.12 |
긴급재난지원금 체크카드 신용카드 신청 알아보기! (0) | 2020.05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