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년 5월 11일부터 전국민에게 지급되는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긴급재난지원금은 카드 뿐만 아니라 해당 지자체 관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지역사랑상품권으로도 지급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더 도움이 되는 지역사랑상품권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의 신청, 사용, 사용처 등을 알려드립니다.
▶긴급재난지원금 안내
1. 긴급재난지원금이란?
• 코로나19의 글로벌 대유행에 따라, 국내외 경제는 전례없는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.
- 특히 경제활동과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고민생ㆍ경제 전반의 어려움이 확대되어, 소상공인ㆍ자영업자ㆍ국민의 버팀목이 절실한 상황입니다.
- 또한 현재와 같이 광범위한 계층에 피해가 발생한 상황에서,주로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기존 복지제도로는지원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됩니다.
• 긴급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위기에 대응하여 국민 생활의 안정과 위축된 경제 회복을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“국민 안전망”입니다.
2. 지원대상 및 수준
• 전 국민 대상 가구
지원범위 : 전 국민 대상 2,171만 가구(동일생계 기준*)
* “부양자-피부양자”를 경제공동체로 보는 건강보험료상 가구 기준 적용
지원수준 : 4인이상 가구 기준 100만원(가구원수별 차등 40~100만원)
▶긴급재난지원금 지역사랑상품권
1. 신청주체
• 대상 가구의 세대주 신청 원칙
※ 단, 상품권·선불카드 오프라인 신청시 세대원·대리인 신청 가능(위임장 지참)
2. 지역사랑상품권ㆍ선불카드 신청
• 지역사랑상품권·선불카드의 경우 구체적 신청일정·방법 등은 지자체별로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.
<온라인 신청 : 지자체별 홈페이지>
• 기간 : 20.5.18.(월) 09:00 ~
• 방법 : 지자체 신청 홈페이지 접속, 대상자 조회 및 신청서 입력
- 지급준비 완료 통보 후 읍면동 또는 지정된 지역금고 방문ㆍ수령
• 세대주 신청·수령 원칙, 세대원ㆍ대리인은 수령만 가능
※ 방문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, 위임장 등 지참
<오프라인 신청 : 주민센터/지역금고>
기간 : 20.5.18.(월) 09:00 ~
• 방법 :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, 신청서 작성ㆍ접수
- 준비 완료시 즉시 현장 지급 / 준비 미완료시 지급준비 완료 통보 후 읍면동/지역금고 재방문ㆍ지급
• 세대주, 세대원, 대리인 신청 및 수령 가능
※ 방문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, 위임장 등 지참
3. 거동불편 주민을 위한 ‘찾아가는 신청’
• 기간 : 20.5.18.(월) 09:00 ~
※ 구체적 신청일정·방법 등은 지자체별로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.
• 방법 : 거동불편 주민*이 “찾아가는 신청” 요청 시, 지자체에서 해당 주민을 방문하여 신청서 접수
* 고령, 장애인이 혼자 거주하는 경우
- 지급준비 완료 통보 후 지자체에서 재방문ㆍ지급(상품권, 선불카드)
▶전국 지역사랑상품권 안내
지역사랑상품권은 기본적으로 해당 관내의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, 해당 관내의 업소에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된 곳에서 현금처럼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. 자세한 가맹점 조회는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!!!
지역별 상품권의 자세한 안내는
아래의 지역사랑상품권을 클릭!!
하면 간편하게 확인가능합니다
서울지역사랑상품권
인천광역시
부산광역시
대전광역시
세종특별자치시
광주광역시
울산광역시
경기도
충청북도
충청남도
전라북도
전라남도
경상북도
경상남도
강원도
▶긴급재난지원금 지급수단별 특성
긴급재난지원금은 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카드, 지역사랑상품권(지류형, 모바일형, 카드형)으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사용기간은 2020년 8월 31일까지 동일합니다. 단 지역사랑상품권 지류형은 사용이 권장이기 때문에 이후에도 사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.(큰 장점이네요!!!)
※ 지류·카드·모바일형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여부는 자치단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지역사랑상품권은 발행하는 해당 시, 군, 구의 관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. 이에 반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경우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사용이 가능한 차이가 있습니다.
▶재난지원금 FAQ
Q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이 무엇?
A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의 생활 안정과 위축된 경제위기 극복을 목적으로, 정부에서 전 국민에게 최대 100만원(4인 가구 기준)을 지급하는 지원금을 말합니다.
더 많은 내용은 아래 더보기 클릭!
Q : 정긴급재난지원금은 지급 기준?
A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은 ‘가구’ 단위로 지급됩니다. 여기서 ‘가구’란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세대(2020.3.29 기준)를 의미합니다.
다만, 주민등록등본상 세대가 분리되어 있더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는 한 가구로 구분합니다.



Q : 가구원 수는 어디서 조회?
A : 주민등록등본상의 세대주가 긴급재난지원금 조회 서비스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하시면, 가구원 수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※ 가구원 수 선정기준 문의 :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
Q : 주민등록표상 세대가 분리되어 있는 배우자·자녀·부모의 경우에는 어떻게 적용되나요?
A :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의 경우, 주민등록등본상 세대가 다르더라도 건강보험 가입자와 생계를 같이하는 경제 공동체로 간주하여 가입자와 한 가구로 구분합니다.
다만, 건강보험 가입자와 주소지를 달리하는 직계존속(부모)이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된 경우에는 동일한 경제 공동체로 보기 어려우므로 별도의 가구로 구분합니다.



Q : 지원금액의 기준이 되는 가구원 수가 실제 가족 수나 동거하는 가족 수와 다를 수도 있나요?
A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지급기준이 되는 ‘가구’는 2020.3.29(일) 주민등록등본에 등재된 세대(2020.3.29 기준)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
다만, 주민등록등본상 세대가 분리되어 있더라도 건강보험법상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가구로 구분합니다.
혼인, 이혼, 출생, 사망 등으로 인해 2020.3.30(월)~4.30(목) 동안 변동된 가족관계 내용은 반영되어 있지 않으므로, 해당 기간 동안 가족관계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본인의 신분증(대리인의 경우 위임장)을 지참하고 주민등록 주소지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이의 신청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.



Q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지원금액은 얼마인가요?
A : 가구원 수에 따라 가구당 40만원~100만원까지 지급되며, 가구원 수는 세대별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등재된 구성원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. 일부 지역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 지급한 생계지원금 수급 여부 등에 따라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지원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가구원 수에 따른 지원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.
1인 가구 : 40만원
2인 가구 : 60만원
3인 가구 : 80만원
4인 이상 가구 : 100만원
Q :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은 어떤 경우에 현금으로 지급되나요?
A :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/기초연금/장애인연금 수급가구 중에서 주민등록등본상 세대주와 세대원 모두가 수급자인 가구에 한해 현금으로 지급됩니다.



▶긴급재난지원금 전화문의
긴급재난지원금의 전화문의는 전국의 17개 광역시도 지자체별로 문의를 해야합니다. 전화문의 가능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18시까지입니다. 아래 링크 홈페이지의 하단에서 지자체별 전화번호 확인이 가능합니다.
1. 일반 문의
- 가구원 산정 기준 :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
- 신청 및 지급 방법 : 행정안전부 콜센터 02-2100-3399, 국민콜 110
- 조회 시스템 장애 : 070-7825-4467, 0159
※ 카드사 콜센터에서도 구체적인 신청방법을 안내 받으실수 있습니다.
'정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영업자 실업급여 신청자격 조건 수급 총정리! (0) | 2020.05.15 |
---|---|
비씨카드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혜택 총정리 (0) | 2020.05.13 |
하나카드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혜택 총정리! (0) | 2020.05.13 |
조기재취업수당 상세하게 총정리(실업급여) (0) | 2020.05.12 |
긴급재난지원금 체크카드 신용카드 신청 알아보기! (0) | 2020.05.11 |